고지혈증약 중 대표적인 스타틴 복용 후 극히 일부 환자에서 새롭게 당뇨병이 발생하거나 기존 당뇨병이 악화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널리 사용되는 약물로,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특정 인구에서는 당뇨병 위험을 아주 약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고지혈증약은 어떻게 당을 올릴 수 있나?스타틴이 당뇨병을 유발하는 정확한 기전은 아직 완전히는 잘 모릅니다. 다만,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인슐린 감수성 감소:스타틴은 췌장 베타세포와 근육 세포 내의 포도당 흡수와 인슐린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베타세포 기능 저하:스타틴은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
당뇨전단계에서 당뇨로 가는 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과 식이가 특히 중요합니다. 적절한 에너지와 영양을 공급하면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식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사람의 식욕, 식습관, 활동량은 다릅니다. 그러므로 일단 표준 체중을 구해보도록 합니다. 표준체중과 하루 에너지 필요량 구하기 표준 체중은 남자 = 표중체중= 신장 (m) x 신장 (m) x 22 여자= 표준체중=신장 (m) x 신장 (m) x 21 예를 들어 161 cm 의 여자의 표준체중은 저 공식에 의하면 1.61 x 1.61 x 21=54.4 kg 이 됩니다. 다음은 성인에서 필요한 하루 에너지 필요량을 계산합니다. 여기서 성장기, 임신이나 수유기 여성 등은 이 공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암튼 일반적인 성인 기준으로 ..
당뇨발은 당뇨합병증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두려운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심한 경우 환자가 입원을 하게 되고 하지를 절단하게 되는 경우까지 생기는 무서운 합병증 중의 하나입니다. 당뇨발은 당뇨환자의 5~10% 에서 발생하는 증상중의 하나입니다. 당뇨발 왜 생기나요? 당뇨가 진행되면 당뇨는 신경과 혈관에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이를 당뇨 신경병증 그리고 당뇨 말초혈관질환이라고 하는데 이 둘이 한꺼번에 생기는 경우도 있고, 여기에 외상과 같이 발을 다치는 경우나 감염이 겹치면서 증상이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당뇨발 환자들은 당뇨신경병증으로 인해 감각이 떨어진 상태여서 하중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면서 높은 압력이 발에 가해지기도 합니다. 여기에 더해서 발에 궤양이 생기는 경우, 상처가 아물지 않는 특성 때문에 ..
당뇨와 관련된 다양한 근골격계의 증상, 관절염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손이 너무 뻣뻣해서 잘 쥐어지지 않아요. 류마티스 관절염 같아서 검사를 하고 싶어요” “ 아침에 잠시 뻣뻣하신가요?” “아니, 지금도 뻣뻣한데..” “ 참, 당뇨 앓으신지는 얼마나 되셨다고 하셨나요?” 당뇨는 단순히 고혈당의 문제가 아니라 당뇨가 지속되는 경우 다양한 기관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관절은 부산류마티스 부산류마티스 허민영 흔히 당뇨눈, 당뇨콩팥, 당뇨 신경병증, 당뇨발 등이 알려진 합병증이긴 하지만 오늘은 당뇨관절병증 등 당뇨와 관련된 다양한 근골격계의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흔한 임상증상 뻣뻣한 손 증후군, 방아쇠 수지, 건초염, 손목터널 증후군, 동결견, 오십견, 신경병증 관절염 등으로 각각의..
당뇨 전단계란 혈당이 정상은 아니지만, 아직 당뇨라고 부르기에는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당뇨 전 단계의 진단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는 당뇨의 진단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기 좋은 글 당뇨 수치, 당화혈색소 정상치, 기준 당뇨병, 당뇨병 전단계, 정상의 혈당 및 당화혈색소 수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6 년 30세 이상 성인 7명 중 한 명 (14 % ) 이 당뇨병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65세 이상 성인 기준으로 할 www.topdoctor.kr 오늘은 당뇨 전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뇨 전단계란 혈당에 이상이 있지만, 즉 정상은 아니지만 아직 당뇨라고 부르기에는 진단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국민영양조사에서 2016년 기준으로..